정신분열증이라고도 불리는 조현병은 대표적인 정신질환 중 하나로 망상이나 환각, 비정상적이고 기괴한 행동 등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인들 및 가족들이 매우 힘들어하는 질환이며 나아가 최근에는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범죄로도 이어지는 정신질환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1. 조현병(Schizophrenia)의 원인
조현병(調絃病, Schizophrenia) 또는 정신분열증은 비정상적인 사고와 현실에 대한 인지 및 검증력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뇌의 기질적 이상은 없는 상태에서 사고(thought), 정동(affect), 지각(perception), 행동(behavior)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서 와해를 초래하는 뇌기능 장애입니다. 자아 경계가 상실되고 현실 검증력이 손상되며 환각 및 망상, 와해사고와해 사고, 행동 장해 퇴행이 특징입니다.
진단 기준(DSM-5)
-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사고 이탈, 지리멸렬), 극도로 와해된 행동 또는 긴장성 행동, 음성증상(감정표현의 감소나 무의욕증 등) 2가지 이상이 한 달가량 지속, 반드시 증상 중 1가지 이상은 망상, 환각 또는 와해된 언어를 포함해야 함
발병 후 상당기간 동안 직업, 대인관계, 자가 간호의 주요 영영 중 한 가지 이상의 현저한 저하 - 장애의 지속적 징후가 6개월 이상 지속
- 조현 정동장애나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우울 또는 양극성 장애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함
-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함
- 만약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의사소통 장애의 진단이 있는 경우 망상이나 환각을 포함한 조현병 증상이 한 달 이상 존재해야 함
원인으로는 먼저 유전적 요인이 있다고 알려집니다. 일란성쌍생아에게서 40~50%의 빈도로 나타나며 이란성쌍생아의 경우 9~15%의 빈도로 발현합니다. 조현병 환자 형제의 조현병 평생 유병률은 10%이며 한쪽 부모가 조현병일 경우 15%, 부모 모두 조현병일 경우 35%의 확률로 발병합니다.
측뇌실과 3 뇌실의 확대나 대뇌 피질의 위축 전두엽 및 측두엽 위축과도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빈곤, 주요 생활 스트레스, 대인관계)에 대한 개인의 취약성이나 열악한 주거환경, 부적절한 영양, 모자관계의 결함이나 아동기 성적학대 피해 경험, 이중 구속 의사소통과 같은 가족의 부정적 태도, 심리적 외상, 사회적 좌절 경험과 같은 사화 횐경 및 문화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향정신성 약물에 의해 조현병이 촉발될 수도 있는데, 환각제 LSD가 조현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2. 증상
조현병의 증상으로는 양성증상과 음성 증상이 있습니다
양성증상은 정상인보다 과도하거나 정상인에게 없지만 환자에게 있는 증상으로 급성으로 발병하며 약물에 잘 반응합니다.
1) 정신병적
- 환각: 빈도는 청각> 시각> 촉각, 후각, 미각 순이며 환청의 내용은 신 또는 사람 목소리가 흔하며 명령하거나 욕설, 지시 대화입니다.
- 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종교 망상, 신체망상, 관계망상, 조종 망상
2)와해된 행동
① 와해된 언어(disorganized speech)
- 연상의 이완: 생각이 관련이 적은 다른 주제로 진행하는 것
- 지리멸렬: 연상의 이완이 심해져 전혀 이해되지 않는 말을 하는 것
- 말비빔: 연관 없는 여러 가의 단어나 구절을 아무렇게나 섞어서 말함
- 우회증: 말하고자 하는 바를 불필요하게 상세하게 또는 지나치게 돌려서 말하는 것
- 사고의 이탈: 우회 증보다 심한 형태로 애초에 말하고자 하는 바와는 전혀 딴 방행으로 생각이 흘러가 버리는 것
- 음향 현상: 뜻은 전혀 다르지만 소리가 비슷한 단어를 연상하여 말하는 것(예: 사과→사다리→사진)
- 반향 언어: 상대방에게서 들은 마지막 단어를 병적으로 따라 하는 것
- 음송증: 의미 없는 단어나 짧은 문장을 반복하는 것
- 신어 조작증: 몇 개의 단어를 합쳐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것
- 사고의 두절: 말하는 도중 어떤 사람이 자신의 생각을 지우거나 빼앗아 갔다고 생각하여 갑자기 말이 중단되는 것
- 함구증: 입을 잡고 말을 전혀 하지 않는 것
② 와해된 행동
- 긴장성 혼미: 깨어있으면서 꼼짝하지 않고 말도 하지 않고, 모든 자극에 전혀 반응 안 보임
- 긴장성 흥분상태: 스스로 행동 조절을 못하고 목적 없는 운동성 활동 보임
- 상동증: 뚜렷한 목적 없이 신체적인 운동을 반복(예: 몸을 앞뒤로 흔드는 것)
- 기행증: 어떤 목적 하에는 정상적인 행동같이 보이지만 그 양상이 이상하거나 내용이 없는 것
- 반향 행동: 다른 사람의 동작, 제스처를 따라 함
- 자동증: 간단한 명령에 로봇같이 그대로 따라 함
- 거부증: 타당한 이유 없이 간단한 요구도 거절함
- 그 외: 기이한 외양 꾸밈, 사회규범을 깨뜨리는 이상한 행동
③ 정동 불일치
사고의 내용이나 상황과 정동이 일치하지 않고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서 평범한 내용이나 슬픈 주제를 말하면서 미소 짓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웃는 경우입니다.
음성 증상은 정상인에게는 있지만 환자에게는 부족한 기능 및 증상을 말합니다. 예후와 경과가 양성 증상에 비해 좋지 않습니다.
- 정동 둔마: 감정적 표현과 반응의 강도가 감소됨
- 언어 내용 빈곤: 말은 하지만 사용하는 언어가 애매모호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며 반복적이고, 상동적 양상
- 무의욕증: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시작하고 완수하는 능력의 상실
- 무쾌감증: 즐거움을 경험하지 못함. 환자는 감정적으로 비어있는 느낌이라고 말함
- 주의력 손상: 주의집중을 못하거나 외부의 많은 자극 중 필요한 자극만 걸러내지 못한 혼란에 빠짐
3. 경과 및 진행 과정
발병 전기에는 사회적 부적응, 위축, 과민, 모순관 사고와 행동 및 조용하고 수동적이며 내성적인 모습으로 주로 보입니다. 수년간 일상적이지 않은 모습이며 사회적 활동을 회피하고 관계 형성의 장애가 있어 주로 혼자 활동합니다.
전기 증상기(전구기, 2~5년)에는 조현병 발병의 위험 징후라고 할 수 있는 초기 증상을 경험하며 청소년기에 흔합니다. 기능 변화와 동반되는 수면장애, 불안, 초조, 우울, 주의집중 장애, 피로 등을 경험합니다. 일관적으로 생각을 유지하기가 힘들며, 사고의 왜곡 등의 양성 증상이 발생합니다.
정신증 활성기(급성기)에는 한 가지 이상의 정신증적 증상(환각, 망상, 와해된 언어 등)이 주로 나타나며 아동기에 나타나면 중요한 발달과정이 심각하게 손상되며 성인기에 나타나면 가족, 사회, 직업 등에서 극도의 어려움을 겪고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개인위생 등과 같은 기본 욕구를 무시하며 무감동과 우울감이 특징입니다.
잔류기에는 급성기의 증상은 없거나 현저하지 않지만 무감동과 기능 손상이 발생합니다. 완화 기와 악화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 장애의 특징과 원인(NREM vs REM) (3) | 2022.11.17 |
---|---|
조현병(Schizophrenia)의 치료와 합병증 및 예방법 (3) | 2022.11.13 |
성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의 유형 및 특성 (2-2) (1) | 2022.11.11 |
성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의 분류 및 원인 (1) | 2022.11.10 |
틱 장애의 원인과 치료 (1)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