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다지증의 원인 및 치료

by 일레이니 2022. 12. 24.
반응형

손과 발에 생기는 흔한 선천성 질환의 하나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6개 이상인 다지증이라는 질환이 있습니다. 태어날 때 가지고 태어나는 선천성 질환으로 심미적 측면 및 기능 보존을 위해 빠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지증(ploydactly)이란?

한쪽 손에 손가락이 여섯 개 이상일 때 다지증이라고 합니다. 손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입니다. 다지증의 85%는 엄지손가락에 발생하며 새끼손가락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손에 있어서는 전체 손가락 수는 다섯 개인데, 엄지가 2개이고 다른 손가락이 4개가 아닌 3개 일 때도 다지증에 포함시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육손이라는 말로 불리기도 합니다.

다지증

 

다지증은 합지증과 함께 가장 흔한 손과 발의 선천성 기형입니다. 백인과 흑인에서는 대략 출생 10,000명당 1명 정도가 다지증인 것으로 보고되지만, 아메리카 인디언이나 우리와 같은 몽골족에서는 4,000~5,000명 중 1명 정도로 나타나는 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지증 중에도 엄지, 2~4번째 손가락, 그리고 새끼손가락 중 어디에 발생한 것인지 따라 발생 빈도와 유전적 성향이 다르고 따라서 치료법이 다릅니다. 하지만 엄지의 다지증은 손가락에 발생한 전체 다지증 중 거의 85%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합니다.

다지증다지증
엄지손가락 다지증

2~4번째 손가락에 생기는 다지증은 매우 드물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의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예에서 동일한 손의 동일 부위에 합지증 그리고 다른 쪽 손이나 발에 다지증 또는 합지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합지증이나 기타 이해하기 어려운 골격의 변화가 병발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


새끼손가락의 다지증은 손에서는 드물며 발에서는 50% 이상의 출현 빈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새끼손가락에 생긴 다지증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되는 경향이 있으며, 다지증이 있는 부위에 합지증 등 여러 가지 다른 기형이 함께 있을 수 있고, 증후군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드물지 않기 때문에 진단 시 다른 부위에 동반 질환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지증다지증다지증

 

다지증 원인

다지증은 손가락 발생 과정에서 분화가 중복되어 생깁니다. 유전적인 영향과 관련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습니다. 두 번째에서 네 번째 손가락이나 새끼손가락에 발생한 특수한 형태는 상염색체로 우성 유전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예전 브라질의 한 가족에게서 12명이 다지증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된 적이 있으나 전체적인 가족력은 10% 미만으로 보고되며 또한 유전보다는 산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다지증다지증

 

다지증의 증상

골관절과 인대, 연부 조직()의 크기, 형태 및 배열 방법은 배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수술 정도와 범위도 매우 다릅니다. 전체적인 크기가 정상인 것도 있으나 손가락의 흔적같이 살 조직만 붙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간단한 수술로 제거할 수 있지만, 뼈와 관절 인대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을 때는 수술이 여러 차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엄지손가락에 발생하는 다지증은 복잡한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두 엄지손가락 중 더 작은 잉여지(extra digit) 는 물론이고 더 큰 주요 수지도 덜 발달된 상태인 만큼, 길이와 둘레가 모두 줄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관절 변형에는 엄지손가락 마디가 하나 더 있는 삼지골 무지나, 손가락의 측면 휨을 유발하는 삼각지골 변형이 흔하게 동반됩니다. 관절 구축 정도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두개의 손톱이 합해져서 거대해 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뼈에 발생하는 변형으로는 뼈가 하나 더 있는 삼지골 무지나 과지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성장판이 손가락이나 발가락 뼈의 종축을 따라 C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삼각 지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절도 온전히 정상적인 경우는 드물며, 관절 구축 정도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다지증 검사

다지증다지증다지증

 

골격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엑스레이를 찍고, 관절 상태 평가를 위해 자기공명촬영술(MRI)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다지증의 치료

다지증의 주 치료법은 수술입니다. 단순히 절제해내면 될 경우도 있지만, 복잡한 재건술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다. 수술 시기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데,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이 고정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개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 전후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생 후 시간이 지날수록 조직과 장기가 자발적으로 재생되거나 성형되는 능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선천성 기형에 대한 치료는 대부분 빠를수록 좋습니다.

 

1. 국소 마취 전기 소작술

절제할 잉여지가 작은 살로만 붙어 있는 경우예전에는 끈 등으로 묶어 떨어지게 하는 치료를 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수술실에 보호자가 동반한 가운데 국소 마취 후 간단히 절제하는 방법이 우수한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다지증

 

2. 전신 마취 단순 절제술

뼈나 관절의 연결은 적거나 없지만 두 손가락의 붙어 있는 부분이 많을 때는 전신 마취 후 잉여지를 절제해 냅니다. 

  

 

3. 절제 재건술

 뼈나 관절인대 등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조직을 보존해 절제하고절제한 잉여지의 조직을 이용해 남아 있는 손가락의 재건에 사용하는 다소 복잡한 수술을 해야 합니다 종축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강선 고정이나 절골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전신 마취 후 진행됩니다.    

 

다지증다지증

 

다지증
다지증 수술 전 후

 

독일의 연구에서는 손가락 다지증을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 일반인 보다 운동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분의 손가락을 조작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심지어 여분의 손가락을 숙련된 스킬로 조작이 가능하며 신경 기능에도 무리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실적으로 다지증을 가진 사람들은 보통의 사람들처럼 살아가는 어려움을 겪을 있으므로 결국은 수술을 고려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다지증을 갖고 있다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가능한 유아기에 교정 시술을 받는 것이 좋으며, 병원을 선택할 시에는 재건 수술까지 고려하여 성형외과, 정형외과 전문의가 있는 곳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지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