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외상과염(테니스 엘보)의 치료(보조기, 체외충격파, PRP 및 수술)

by 일레이니 2022. 12. 22.
반응형

팔꿈치 통증이 심해서 자다가 깜짝 놀라 깬 경험이 있는 분이 있을 겁니다. 팔꿈치 바깥쪽에서부터 발생하는 통증이 손목과 팔을 움직일 때 심해진다면, 테니스엘보(외상과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외상과염(테니스 엘보)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근육과 힘줄은 위팔뼈 아래쪽에 붙어있는데, 부위를 상과라고합니다. 근육을 과하게 사용하면 상과에 힘줄이 미세하게 찢어지면서 통증이 생깁니다.



팔꿈치 바깥쪽 부위의 힘줄에 손상이 생긴 것이 외측상과염, 테니스엘보라고 하며, 반대로 팔꿈치 안쪽 부위의 힘줄에 손상이 생긴 것은 내측상과염, 골프엘보라고 합니다.



테니스 선수에게 많이 생긴다고 해서 테니스엘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꼭 테니스 선수에게만 생기는 질환은 아닙니다. 외측상과염은 손이나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습니다.


외상과염의 원인

팔꿈치 관절을 이루는 상완골, 요골, 척골 중 상완골의 하단은 양쪽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를 외상과 및 내상과라고 합니다. 이 외상과와 내상과에는 많은 근육이 분화되어 손목 아래로 내려가서 부착됩니다. 그 중 외상과염은 바깥쪽 힘줄 부위에 손상이 생겨 통증을 일으킵니다.


팔을 채로 팔꿈치에 힘을 주는 동작들은 팔에 무리가 있습니다. 테니스 선수처럼 팔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나 화가, 목수, 요리사 등 팔을 사용하는 직업인들에게 잘 생기며 빨래나 다리미질을 많이 하는 주부에게도 잘 생깁니다.

원인은 과다 사용입니다. 30~50대 연령군에서 호발하며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다치는 경우 발생합니다.

외상과염(테니스엘보)

 

외상과염 증상

외측상과염의 통증은 팔꿈치 바깥쪽에서부터 손목 방향으로 뻗어나가는데 물건을 들거나 밀 때 팔꿈치 바깥쪽이 아픈 것이 주된 증상이며, 통증은 경미한 정도에서 일상생활의 장애가 올 정도로 심각해지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하면 악수를 하거나 문손잡이를 돌리는 등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통증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외측상과염의 진단


팔꿈치나 팔의 특정 부위를 만져보거나, 손과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을 확인하는 문진 및 진찰로 쉽게 진단이 가능합니다. 엑스레이나 초음파 검사를 하여 초음파나 MRI를 통해서도 힘줄과 근육, 주변 조직의 상태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외상과염의 치료

외측상과염을 진단받았다면, 과다 사용으로 지친 팔을 쉬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증상을 유발하는 동작을 멈추고 팔을 쉬게 해줍니다. 열감이 있다면 냉찜질로 먼저 통증을 줄여주고, 이후 온찜질을 해줍니다. 보조기 사용 약물치료, 체외충격파(ESWT)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스트레칭으로 근육을이완시켜 줍니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다면 드물게는 수술이 필요할 있습니다.

팔꿈치 보조기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보조기나 보호대를 팔꿈치를 고정하여 팔꿈치의 움직임을 제한합니다.

외상과염(테니스엘보)

약물치료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줄입니다. 마취제인 리도케인과 스테로이드를 섞은 약물을 직접 주사할 수도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급성 통증에는 좋지만 부작용이 있고 장기적인 효과가 낮고 재발률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외상과염(테니스엘보)

반응형


스트레칭
1. 팔꿈치 근육 마사지
① 아픈 팔에 완전히 힘을 뺀다.
② 근육에 오일이나 크림을 바른다.
③ 반대편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근육을 깊게 지그시 누르며 천천히 내려간다. (약 5분)

2.
팔꿈치 근육 누르며 손목 돌리기
① 반대편 손 엄지손가락을 아픈 팔꿈치 근육에 놓이도록 잡는다.
② 엄지손가락이 근육을 누르는 동안 아픈 팔 손목은 천천히 돌린다. (시계/반시계 방향 각 5회 5세트)

3. 신전근 스트레칭
① 손등이 하늘을 향하도록 팔을 앞으로 쭉 편다.
② 반대편 손으로 손등을 잡고 아래로 내린다.
③ 팔꿈치를 하늘 방향으로 약간 돌려주며 손은 같이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한다.

외상과염(테니스엘보)


4. 해머컬
① 약 1~1.5kg의 물병을 손에 잡는다.
② 팔꿈치는 몸통에 고정시킨 채 망치질을 하듯 손을 올렸다 내린다.
③ 근력이 좋아지면 무게를 0.5~1kg정도 올린다.

체외충격파(ESWL)
통증을 줄이고 조직을 회복시키기 위한 체외충격파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충격파치료는 조직재생을 위해 성장인자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며 염증반응을 만드는 시술입니다. 비급여 시술(5~20만원/회)이라 병원마다 가격이 상이하며 대개 3~6주 동안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시행합니다. 연구결과 10명 중 5~8명에게도 효과가 있다도 알려지고 있습니다.

외상과염(테니스엘보)


피알피(platelet-rich plasma, PRP) 치료
PRP는 혈소판 풍부 혈장으로 정상 혈액보다 3~5배 정도 농축되어 있는 혈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혈액에서 혈소판을 분리해 통증 부위에 주사하는 시술인데 이 혈소판에 성장인자가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손상된 인대나 근육에 주사할 경우 세포 증식이나 콜라겐 생성, 신생 혈관 재생으로 인한 상처 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0분 내 시술이 끝나면 시술 후 1-2시간 후부터 가벼운 일상생활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6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통증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전체 환자의10% 정도에서 불응성 외상과염으로 분류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2-3센티 절개하여 수술하는 최소절개법이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병이 생긴 힘줄을 제거하는 형태의 수술이 시행됩니다. 최근 많이 시행되는 관절경 수술은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뚫어 관절 안을 검사하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1주일 정도 팔꿈치 운동을 제한해야 하며 근력 운동을 시행합니다.

외상과염(테니스엘보)
외상과염(테니스엘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