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척추측만증이란? 척추측만증의 원인과 증상

by 일레이니 2022. 12. 13.
반응형

갑자기 자녀가 학교 신체 검진 후 척추 측만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들고 오면 부모들은 많이 상심하고 걱정합니다. 청소년기에 생기는 척추측만증은 외모 변형으로 인해 정서적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여성 청소년에게 더 호발 하기 때문에 더 부모들의 걱정이 많아집니다.

 

척추측만증 엑스레이(우측)

 

 

척추측만증이란?

척추는 우리 몸의 기둥이 되어주는 뼈입니다. 사람의 척추에는 만곡(curve)이 있습니다. 만곡이란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굽은 상태를 뜻합니다. 팔이나 다리가 심하게 휘어 있다면 비정상적인 상태이지만, 척추에서는 만곡이 반드시 비정상적인 것은 아닙니다.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았을 때에는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휘고(전만곡) 흉추와 천추부는 뒤로 휘어(후만곡) 있습니다. 척추 측만증은 비정상적으로 C자나 S자로 휘어지면서 돌아가는 질환을 척추측만증이라고 합니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하나, 실제로는 단순한 2차원적인 기형이 아니라 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과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 상태입니다. 

 

척추 측만증의 원인

척추 측만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부분(85~90%)의 척추 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라고 합니다.. 태아 때 척추 생성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발생한 척추 측만증은 선천성 척추 측만증이라 하며, 이 외에 중추 신경계나 신경학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증, 신경 섬유종에 의한 척추 측만증과 마르팡(Marfan) 증후군 등 여러 증후군에 동반된 척추 측만증이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특발성 측만증의 가족력이 있는 집안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쌍둥이 중 한 명이 특발성 측만증이면 다른 한 명에도 특발성 측만증이 잘 생긴다는 사실 등으로 유전적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모든 환자에게서 유전적 요인이 입증되는 것은 아닙니다.

 

2. 멜라토닌

수면호르몬으로 알려진 멜라토닌(melatonin)이 뇌 속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생산되지 않으면 척추가 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동물 실험에서 밝혀지면서 멜라토닌과의 관계성도 추정하고 있습니다.

 

3. 근육 질환

뇌성 마비, 소아 마비, 사지 마비 등의 신경 질환과 근무력증 등의 근육 질환에서도 측만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신경근육성 측만증(neuromuscular scoliosis)이라고 합니다. 이는 신경과 근육 작용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신경 또는 근육 질환 환자는 척추가 똑바른 상태에서도 일상생활의 장애가 심한데, 측만증까지 생기면 심폐기능의 장애가 생기기도 하여 생활이 더욱 불편해집니다.

 

4.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든 60~70대의 노년층에서도 노인성(퇴행성) 변화로 척추가 옆으로 휘는 경우 퇴행성 측만증이라고 부릅니다. 이 질환은 분명히 측만증이지만, 발생 부위가 허리에 국한되고 발생 원인이 허리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과 같이 퇴행성 변화이며 치료 원칙도 퇴행성 척추 질환과 비슷하므로 일반적으로척추 변형의 범주보다는퇴행성 척추 질환의 범주에 포함시킵니다.

 

5.

이외에 태아 때 엄마 뱃속에서 자리를 잘못 잡고 있어서 특발성 측만증이 생긴다는 가설, 평형 감각에 이상이 있는 아이에게 특발성 측만증이 잘 발생한다는 가설, 성장 호르몬의 이상, 디스크나 근육을 이루는 성분의 분자생물학적 이상으로 측만증이 발생한다는 가설 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측만증은 다양한 질환에 의하여 생길 수 있지만 가장 많은 경우는 대부분 특발성 측만증입니다. 10세 전후 학교의 신체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부모에 의해 발견되기도 합니다. 특발성 측만증은 발견되는 나이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3세 이전에 생기는 유아(infantile) , 3~9세에 생기는 연소기(juvenile) , 10세 이후에 생기는 청소년(adolescent) 형이 있습니다. 특발성 측만증은 대부분 청소년형이므로, 측만증은 대부분 청소년형의 특발성 측만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특발성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성장이 활발한 청소년기에서 가장 많이 생기고, 여자에게 더 많이 생깁니다. 실제로 진료실에서 무거운 책가방, 자녀들의 잘못된 자세 때문에 척추가 휘는 것인지 질문하는 부모가 많습니다. 측만증의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은 측만증의 발생과 명백히 관계가 없습니다.

 

 

척추 측만증의 분류

척추측만증은 관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척추가 옆으로 휜 것이 일시적인 변화인지, 영구적인 변화인지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비구조성 척추측만증

척추가 일시적으로 휜 상태는 비구조성 측만증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다리 길이의 차이 또는 허리 디스크에 의한 통증 등이 원인이 되어 척추가 구조적인 변화 없이 일시적으로 옆으로 휜 상태를 의미합니다.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면 척추가 똑바로 펴지므로, 비구조성 측만증은 진정한 의미의 측만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2. 구조성 척추측만증

비구조성 측만증과 구조성 측만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척추뼈가 비정상적으로 회전되어 있는지에 있습니다. 구조성 척추 측만증이 진정한 의미의 척추 측만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조성 측만증에서는 척추뼈가 회전되어 있는 반면에, 비구조성 측만증에서는 척추뼈가 회전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X-ray 검사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발성 :여러 가지 측만증의 유형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유형은 특발성 측만증(idiopathic scoliosis)입니다. 이는 전체 척추측만증의 85~90%를 차지합니다. 특발성이라는 것은 원인을 잘 모른다라는 의미입니다. 특발성 측만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수십 년간 연구를 진행하였고 지금도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원인을 아직도 밝혀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선천성 : 선천성 측만증(congenital scoliosis)은 태어날 때 척추뼈가 기형적으로 잘못 생겨서 나타나는 측만증입니다. X-ray 검사를 하면 척추뼈의 기형을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일단 기형이 발견되면 4~6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기형이 단시간 내에 빨리 증가한다고 판단되면 서둘러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합니다.

신경근육성 : 신경 질환이나 근육 질환에 의하여 생기는 측만증
기타 질환 : Marfan(말판)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골형성부전증 등의 질환에 동반되는 측만증

 

척추측만증의 증상

가장 흔한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는 보통 아무 증상 없이 척추의 기형을 보이나 드물게 증상이 있는 경우는 요통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척추측만증이 심해지면 척추가 휘면서 한쪽 등이 튀어나오고, 어깨높이가 달라집니다. 신체 균형이 맞지 않으면서 유방의 크기가 달라 보이기도 하고, 허리 한쪽은 잘록한데 한쪽은 밋밋해 보이기도 합니다. 만곡의 각도가 70~80도 이하인 경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그 이상의 심한 측만인 경우는 점차적으로 폐 기능 특히 폐활량의 감소가 일어날 수 있으며, 90~100도에서는 운동 중 호흡곤란이 나타나고, 120도 이상의 심한 흉부 만곡의 경우 폐활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폐성심(cor pulmonale, 폐질환 때문에 폐동맥 혈액의 흐름이 나빠져 우심실의 기능부전을 일으킨 상태.)이 발생하게 됩니다. 청소년기에 심한 척추측만증이 생기면 외모 변화 때문에 대인관계에서 자신감이 떨어지는 정서적인 문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수 내 이상이 있는 경우 등 쪽 피부의 보조개 같은 파임(dimple), 모반, 털등의 소견이 관찰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