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by 일레이니 2022. 11. 9.
반응형

공황장애는 복잡한 사회에서 살아가며 심리적 압박감이나 높은 사회적 기대 등으로 인해 많은 연예인 등 유명인들이 고통받고 있다고 알려지며 이제는 우리에게 친숙한 질환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유명인들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사회생활을 저해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주변에도 드물지 않게 공황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증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공황장애는 유명인만의 고민이 아니다

1. 공황장애의 원인

공황장애(panic disorder) 불안장애 일종으로, 예기치 못한 반복적인 공황발작, 즉 뚜렷한 근거나 이유 없이 갑자기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극단적인 공포증세로 인해 사회적 기능의 장애가 초래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얼마 개그맨 정형돈씨나 김구라씨도 공황장애를 겪으면서 방송활동을 중단하는 사태까지 있었습니다.

같은 공황장애를 포함한 불안장애가 나타나는 원인은 교감신경계 항진 과도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수용체의 민감성 변화로 인한 세로토닌 결핍, GABA 감소로 인한 뉴런발화 증가가 있으며 해마, 편도체, 변연계와 대뇌 피질의 이상이 연관이 있습니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정신역동이론에 근거한 어린 시절의 갈등, 불유쾌한 감정상태 등이 있으며 인지한 위협이나 환경 자극에 대한 내적인 조건화 반응에 의해 학습된 행동 잘못되거나 왜곡된 사고형태에 의해 부적응적 행위나 불안이 야기된다는 인지이론도 있습니다.  

대인관계 이론에서 살펴보면 1 집단(개인, 가족 ) 사이에서 일어나는 기대 불안정, 갈등, 좌절 등으로 인해. 불안 증상이 초래되거나 어머니의 불안이 영아에게 전달되기도 합니다.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2. 공황장애의 증상 및 진단

공황장애의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발한, 몸 떨림, 숨이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질식 할 것 같은 느낌이나 흉통 또는 가슴 불편감이 있습니다. 또한 메스꺼움, 어지럽거나 불안정하거나 멍한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및 춥거나 화끈거리며 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공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현실이 아닌 것 같은 느낌, 이인증, 스스로 통제할 수 없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및 죽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기도 합니다.

위에 나열한 신체증상 중 적어도 4가지 이상의 증상이 최소1회 이상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최소한 1개월 이상 추가적 공황발작이 일어날 까 봐 지속적으로 염려하거나 발작 관련 행동으로 현저하게 부적응적인 변화를 보이는 경우, 10분 이내에 절정에 달하며 10~20분간 지속되다 소실되는 강한 공포를 느끼는 경우 공황장애라고 진단(DSM-5)합니다.

주증상은 강한 공포와 곧 죽을 것 같은 느낌이며 호흡성 알칼로시스(respiratoty alkalosis, 과호흡)를 보이기도 하며 진찰 시 같은 말을 되풀이하고 몹시 당황하기도 합니다. 예기불안(미래의 어떤 상황을 떠올렸을 때 불안감이 증가)이 있고 광장 공포증이 동반되기도 하며, 논리적 사고가 부족하여 확대 해석하거나 왜곡하는 경향도 있어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평생 유병률은 0.5%이며 청소년기에서 30대 중반에 호발하나 후기 청소년기에 가장 많고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3. 치료 및 예후

약물 치료로는 급성 발작 시 benzodiazepine계 약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만 금단증상이나 의존증 상의 위험이 있어 증상 관해 후 점차 감량하거나 중단합니다. 지속적 치료를 위해서는 SSRI(sertraline, paroxetine, fluoxetine)가 1차 치료제로 사용되며, SSRI가 효과가 없을 때 TCA(clomipramine, imipramine)와 MAO(phenelzine)을 사용합니다.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공황장애의 1차 치료제들


일단 공황 증상이 호전을 보이면 재발 방지를 위하며 8개월에서1년가량 약물 치료를 유지해야 합니다. 유지 기간이 길수록 재발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및 가족치료, 통찰 치료, 심호흡 이완요법 등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으로는 술, 카페인, 불규칙한 생활, 스트레스를 멀리 하는 것입니다. 특히 술을 공포감을 잊기 위해 마시는 경우가 있는 데 술이 깨는 과정에서 공황발작이 많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으니 특히 금주해야 합니다.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공황장애는 만성적인 질병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습니다. 다만 치료 시 70%~90%의 환자는 증상이 호전되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이 살아갑니다. 하지만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합병증으로는 우울증이 있으며 공황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 30%~70%가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광장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 환자 중 24%가 알코올 중독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알코올 의존성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합니다. 공황발작으로 인한 질병 공포증을 경험하기도 하며 연극성 성격장애를 겪는 사람도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