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은 뼛속의 구멍이 생기는 것처럼 양이 줄어들어 뼈가 얇아지고 약해져 잘 부러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사춘기에 성인 골량의 90%가 형성되고, 35세부터 골량이 서서히 줄어들다가 50세 전후에 폐경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골량이 줄어듭니다. 폐경 후 3~5년 동안 골밀도의 소실이 가장 빠르게 일어나며 노인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됩니다. 골절이 잘 일어나는 뼈는 척추 뼈, 팔뚝 뼈, 엉덩이 뼈 등이 있습니다. 골다공증이 있어도 통증 등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골절 이후에 만성적인 통증이 오거나, 일상적인 활동 수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원인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위를 잘라내는 수술, 장에 발생한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 쿠싱병, 신경성 식욕 저하증 등으로 칼슘을 적게 먹거나 먹더라도 흡수가 제대로 안 되면 골다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비타민 D는 장에서 칼슘의 섭취를 증가시키고 신장에서 칼슘의 배출을 감소시켜 체내 칼슘을 보존하는 작용을 하는데 나이가 들면 피부, 간, 신장에서 만들어지는 활성 비타민 D가 감소합니다. 이는 비타민 D의 섭취가 부족하거나 햇볕을 충분히 쬐지 못하는 경우에도 부족해집니다. 항응고제(헤파린), 항경련제, 갑상선 호르몬,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이뇨제, 항암제 등의 치료제는 골다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운동 부족 골밀도 감소와 관계가 있습니다. 폐경으로 인해 에스트로겐이 감소되어 골다공증이 유발되며, 모계 가족력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체형적으로 작은 여성에게서 더 잘 발생합니다. 흡연이나 과음은 칼슘의 흡수를 떨어뜨려 뼈의 형성을 줄입니다. 원인이 확실하지는 않으나 우울증을 앓는 여성은 뼈의 손실 속도가 빠르다는 보고가 있으며 우울증 약이 유발한다고 생각됩니다. 골다공증은 모든 인종에서 일어나지만, 유럽계나 동양인이 더 많이 걸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진단
골밀도 검사를 통해 확인되는 티 수치(T-scores)로 판단합니다. 수치가 -1 이상이면 정상이며, -1∼-2.5 사이면 골감소증으로 분류합니다. 수치가 –2.5 이하일 경우 골다공증으로 분류합니다. X-ray 검사를 진행하여 골다공증으로 인한 압박 골절 등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치료
골다공증의 치료법은 골 형성을 증가시키거나 골 소실을 방지하여 현재의 골량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비타민 D 합성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자주 일광욕을 해야 합니다. 식사 시 뼈를 튼튼히 하는 칼슘이 풍부하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음식을 짜게 먹으면 나트륨이 소변으로 빠져나갈 때 칼슘도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저염으로 식사해야 합니다. 음주, 흡연, 카페인, 인스턴트 식품, 패스트푸드, 탄산음료, 흰 설탕 등의 가공식품 섭취를 피합니다.
그 외 약물 치료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칼슘 제제 : 적절한 칼슘은 골량을 유지해 주며 골량의 소실을 지연시킵니다.
② 비타민 D : 장에서의 칼슘 섭취를 증가시키고, 골 흡수와 골 소실을 감소시킵니다.
③ 칼시토닌 : 골다공증에 사용하면 통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칼시토닌은 환자가 장기간 움직이지 못하거나 내과질환으로 골 손실이 발생한 경우,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약제를 투여받은 경우에 골 손실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④ 에스트로겐 : 폐경기 여성의 급격한 골 소실을 줄일 수 있지만, 장기간 복용할 경우 유방암, 정맥혈전증, 뇌졸중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⑤ 골흡수억제제(비스포스포네이트) :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골절률을 낮춥니다. 낮은 흡수율, 잦은 위장 장애, 골수 억제 효과 등을 최소화한 여러 약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⑥ 불화나트륨(NaF) : 골량을 골절 한계치 이상, 또는 정상 범위까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⑦ 부갑상선 호르몬: 골량을 증가시킵니다.
⑧ 스트론튬 : 골 형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골 흡수는 억제합니다.
골다공증에 도움이 되는 운동 및 음식
골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구력 운동보다는 체중 부하 운동이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추천합니다. 역기 들기는 팔, 다리, 척추의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달리기는 다리 및 척추에 효과적이나 팔뼈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걷기 운동을 추천하며 무릎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흡수가 잘 되는 신발을 신는 것도 중요합니다.
짠 음식이나 육류를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 인스턴트 음식, 과량의 섬유질, 음주, 흡연, 탄산음료,하루 3잔 이상의 커피는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해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결견의 원인과 치료 (0) | 2022.11.28 |
---|---|
백내장의 원인과 증상, 자가 진단, 치료 및 예방 (1) | 2022.11.28 |
쇼그렌 증후군의 원인 및 치료, 그리고 임신 (1) | 2022.11.21 |
수면 장애의 종류 (0) | 2022.11.17 |
수면 장애의 특징과 원인(NREM vs REM) (3)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