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62

손목터널 증후군(수근관증후군)의 테스트 방법 및 예방, 스트레칭 24시간 스마트폰을 손에 꼭 쥐고 있지 않나요? 100~200g 정도 밖에 안 나가는 스마트폰을 들고 하루 종일 지내다 보면 손과 손목에 찌릿한 통증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바로 손목터널 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신호 입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이란? 손목터널 증후군, 다른 말로 수근관증후군은 손목과 손가락에 저린 느낌과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수근관은 손목 안쪽에 있는, 인대와 뼈로 둘러싸인 공간을 말하는데 수근관으로는 손의 운동과 감각에 관여하는 정중신경이 지나갑니다. 수근관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이 정중신경(median nerve)이 눌리면서 통증 및 감각마비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30대~60대 중년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손목을 많이 사용하.. 2022. 12. 19.
소아 골절 성장판 손상(응급조치 및 치료, 예방법) 킥보드, 인라인스케이트 등 아이들의 활발한 활동으로 골절을 입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특히 남자아이들의 경우 자라면서 골절 한번 안 당해 본 아이가 없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경우 증상에 대해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기도 하고, 뼈에 금이 가도 겉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초반에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 골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장판 손상 여부입니다. 성장판 부분은 X-ray 상 검게 보이기 때문에 골절을 진단하는 것이 까다로워 추가적인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장판 손상이란? 어른과 달리 성장기 어린이의 뼈에는 관절 부근에 팔이나 다리의 길이 성장을 담당하는 부위가 있는데 이 부위를 성장판이라고 합니다. 성장판은 뼈 혹은 인대보다 약한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을 받으.. 2022. 12. 18.
척추측만증의 치료방법(보조기 치료) 척추측만증은 무조건 치료해야 할까요? 거의 대부분 치료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하는 경우가 많으며 10% 정도의 환자에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의 치료 방법 진단되었다고 무조건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90%의 경우에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경과 관찰합니다. 휘어진 정도가 경미하거나 적극적인 필요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에 앞서 치료를 꼭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측만증의 치료 방법에는 크게 관찰(observation), 보조기 착용, 수술적 치료의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치료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세 가지 치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운동 치료(exercise)는 척추를 유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일.. 2022. 12. 14.
척추측만증의 자가검진 및 진단방법 척추측만증은 환자의 병력에 관한 문진, 척추측만증을 전공한 의사에 의한 진찰, X-ray 검사 및 정밀 검사의 과정을 거쳐 진단합니다. 척추측만증의 자가검진 양쪽 어깨의 높이가 비대칭이다. 서있는 자세에서 비대칭이 보이거나 한쪽 날갯죽지 뼈가 더 튀어나와 보인다. 허리를 구부린 채 뒤에서 보면 한쪽 등이 더 튀어나와 있다. 허리선이 수평이 아니다. 다리 길이 차이나 골반의 비대칭이 있다. 한쪽 신발이 더 닳는다. 몸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척추측만증의 진단 방법 위와 같은 자가검진에서 척추 측만증이 의심되는 경우 척추 측만증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방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문진 및 방사선 검사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척추측만증을 진단합니다. 문진 측만증은 환자의 성장 상태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 2022.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