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막종은 수술로 완치 가능성이 매우 높은 양성 종양입니다. 머리에 생긴 종양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뇌종양 중 흔한 종양입니다. 악성인 수막종도 있어 면밀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막종에 대한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막종이란
뇌수막은 뇌를 감싸고 있는 정상적인 구조물입니다. 뇌수막종은 이러한 뇌수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이러한 뇌수막종은 두개강 내 종양의 약 30% 정도를 차지하고, 척수강 내 종양의 약 25% 정도를 차지합니다. 일반적으로 뇌수막종은 양성 이지만, 일부는 악성의 임상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수막종 발병률
원발성 뇌종양의 약 30% 정도를 차지하며, 연력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합니다.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며 40~50대에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소아는 전체 소아 뇌종양의 1~4% 정도를 차지합니다. 여자가 남자보다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장속도는 매우 느려서 종양이 진단될 때에는 이미 상당히 커진 경우이거나 우연히 영상을 찍어 발견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교통사골ㄹ 당한 후 검진 목적으로 찍었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막종의 원인
소수에서 가족력을 보이기도 하나, 뇌수막종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아직 연구중에 있습니다.
수막종의 증상
2cm 이하의 작은 뇌수막종은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기가 큰 뇌수막종은 종양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됩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두통, 오심, 발작, 마비, 감각 이상, 배뇨장애, 성격변화이며, 그 외 위치에 따라 시각장애, 후각장애, 얼굴감각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종양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또한 종양이 뇌조직이나 뇌신경이 누르면 주위 뇌부종 및 그로 인한 혈관의 순환장애 등에 의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수술 후 완전회복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검사
CT, MRI의 검사를 통하여 대부분의 뇌수막종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조영제를 사용한 컴퓨터단층촬영(CT) 또는 자기 공명영상(MRI)을 통해 종양의 특징적인 모양과 독특한 발생위치로 쉽게 진단이 가능합니다.
▶컴퓨터단층촬영(CT)
CT는 종양 주위의 뼈가 자라난 것을 확인하고 및 종양 내 석회화를 확인하는데 유용하여 수술 전 시행합니다.
▶ 자기 공명영상(MRI)
수막 아래쪽에서부터 뇌실질을 밀어내며 자라는 수막종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나타냅니다.
▶혈관조영술
뇌수막종은 수술 중 종양 내 출혈이 많은 종양으로 수술 전에 뇌혈관 조영술을 통하여 종양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막종 진단을 위해 필수적인 검사는 아니지만 의사가 수술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필요시 색전술(치료 목적으로 혈관에 이물질을 주입하여 폐쇄하는 것)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수막종 단계
대부분의 뇌수막종은 양성의 병리소견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악성의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 뇌수막종의 병리학적 진단은 WHO 분류에 따르며 I 단계에서 III 단계에 속할 수 있다.
- 양성(Grade I) :90%
- 비정형(Grade II): 7%
- 이형성/악성(Grade III): 2%
수막종의 치료
수막종의 일차 치료는 수술이고 완전히 절제가 된 경우에는 예후도 좋습니다. 그러나 수막종은 양성 종양으로서는 비교적 재발률이 높습니다. 완전절제가 되었어도 약 10년 정도 경과하면 10% 이상이 재발하고, 부분절제만 한 경우는 50% 이상에서 진행합니다.
재발을 줄이기 위해 방사선치료 또는 방사선 수술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 수술(Surgery)
대부분의 수막종은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고 영상에서 종양을 자세히 볼 수 있으며 수술적 위험도가 크지 않으므로 수술이 종양의 근본적인 치료법입니다. 그러나, 모든 수막종 환자에서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전혀 없고 뇌부종도 없는 경우, 고령의 환자에서 증상의 진행이 매우 느린 경우, 수술의 위험성이 높은 경우, 환자가 수술을 거부하는 경우 등 일부의 환자에서 정기적인 진찰과 MRI 검사로 경과를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방사선치료(Radiation therapy)
수술 후 종양이 남아 있거나, 종양이 재발된 경우, 조직학적 검사상 악성을 보이는 경우에는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수막종의 위치상 문제로 인해 수술적 접근이 어려워 부분 절제한 경우에도 방사선치료를 시행합니다.
3단계(WHO grade III)의 병리조직 소견을 보이는 뇌수막종은 수술 후 높은 재발률을 보이기 때문에 뇌수막종에 대해서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합니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Gamma knife radiosurgery)
수술 후 종양이 남은 경우, 완전절제가 어려운 뇌 기저부의 종양, 고령 등의 전신적 문제로 인해 수술이 어려운 경우, 재발한 수막종의 치료에 있어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은 일차적 혹은 수술 후의 이차적 치료로써 선택됩니다.. 수막종의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후 종양 성장 억제율은 약 90%입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관련 진료과: 신경외과, 방사선 종양학과, 영상의학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예방 방법 (0) | 2023.05.28 |
---|---|
감마나이프 수술 비용과 부작용 (1) | 2023.04.16 |
뇌종양의 원인과 치료 (0) | 2023.04.07 |
임플란트 가격 및 정부지원 (0) | 2023.03.28 |
전립선 비대증 치료, 전립선에 좋은 음식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