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2

골다공증의 원인과 치료, 도움이 되는 운동 및 음식 골다공증은 뼛속의 구멍이 생기는 것처럼 양이 줄어들어 뼈가 얇아지고 약해져 잘 부러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사춘기에 성인 골량의 90%가 형성되고, 35세부터 골량이 서서히 줄어들다가 50세 전후에 폐경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골량이 줄어듭니다. 폐경 후 3~5년 동안 골밀도의 소실이 가장 빠르게 일어나며 노인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됩니다. 골절이 잘 일어나는 뼈는 척추 뼈, 팔뚝 뼈, 엉덩이 뼈 등이 있습니다. 골다공증이 있어도 통증 등 특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골절 이후에 만성적인 통증이 오거나, 일상적인 활동 수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원인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위를 잘라내는 수술, 장에 발생한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 쿠싱병, 신경성 식욕 저하증 등으로 칼슘을 적게 먹거나 .. 2022. 11. 24.
쇼그렌 증후군의 원인 및 치료, 그리고 임신 다소 생소한 질환이지만 건조함 때문에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가진 자가면역 질환인 쇼그렌 증후군이 있습니다. 쇼그렌 증후군의 원인 쇼그렌 증후군은 타액선, 눈물샘 등에 림프구가 침입해 만성 염증이 발생하여 분비 장애를 일으켜서 입이 마르고 눈이 건조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자가면역성 전신 질환을 의미합니다. 스웨덴 의사 헨릭 쇼그렌이 이 병을 처음으로 기술함으로써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었습니다. 이 증후군은 여성이 남성보다 9배 정도 많이 발생하며 특히 30~50세의 중년 여성에게서 잘 발생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이란 자기 몸의 면역체계가 신체 일부를 외부 인자라고 인식하여 스스로를 공격하여 생기는 질환을 일컫습니다. 쇼그렌 증후군은 다른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루푸스에서도 이차적으로 동반되기도.. 2022. 11. 21.
수면 장애의 종류 수면 장애의 종류 불면증(Insomnia) 뚜렷한 신체 정신적 원인 없이 잠을 자지 못하거나 잠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일컫습니다. 수면의 질이나 양과 관련된 장애가 일주일에 3일,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하며 수면의 시작 및 유지가 힘든 것이 특징적이며 검사 상 문제가 없으나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두통, 근육경직 소화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 disorder) 과도한 수면의 양과 주간 졸음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하며 7시간 이상의 수면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졸림 호소가 일주일에 3일이상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반복적으로 잠에 따지거나 주 수면 시간이 9시간 이상이고 상쾌하지 않은 수면, 기상 후 완전한 각성상태로 되기 어려운 특징.. 2022. 11. 17.
수면 장애의 특징과 원인(NREM vs REM) 잠은 보약이라고도 합니다. 수면은 하루 동안에 쌓인 피로를 감소시키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며 뇌 혈류 공급 및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체계를 유지하고 세포를 성장시키고 복구하여 학습 능력 및 기억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NREM수면 및 REM 수면의 특징 및 수면장애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단계의 특징 NREM(Non –Rapid Eye Movement) vs REM(Rapid Eye Movement) NREM 생리적 기능 감소, 맥박이 60회/분 이하로 감소 뇌의 조직세포와 상피세포의 재생 골격근의 이완으로 신체에너지 보존(세포형성 위한 화학적 에너지 보존) NREM 1단계 가벼운 정도의 수면(전환단계) 소음으로 깰 수 있음 안검 무겁고 이완 NREM 2단계 가벼운 수.. 2022.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