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제, 금융

SVB 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by 일레이니 2023. 3. 12.
반응형

 
2023년 3월 10일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SVB, Silicon Valley Bank)이 파산을 당했습니다. 파산당일 미국 뉴욕 증시가 하락한 가운데 국내에 미칠 파장도 매우 걱정스러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한동안 변동성 높은 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SVB는 왜 파산을 하였고 국내외에 미칠 영향은 어떻지 알아보겠습니다.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SVB는 어떤 은행인가

SVB는 1983년에 설립되어 캘리포니아와 매사추세츠주에 17개 지점을 보유한 신생 기술 기업 전문 은행입니다.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의료산업 및 기술 스타트업, 벤처 캐피탈리스트들에게 대출을 하는 것이 주요 비즈니스입니다. 이외에도 타 은행과 마찬가지로 자산 및 자금 관리, 외환, 투자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해 왔습니다. 미국 16위 규모의 은행입니다. 
 
Cisco, SQare, Airbnb 등 유수의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맺는 등 실리콘 밸리를 거점으로 하는 전문기술 산업과 연계된 은행이라는 것이 타은행들과의 차별점이었습니다.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SVB가  파산한 이유

주요 이유로는 미국의 고금리 충격으로 인한 유동성 위기입니다.
2020~2021년 은행예금 금리가 제로 였던 시절 유례없는 스타트업 붐이 불면서 SVB로 막대한 예금이 몰려들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 이후 인플레로 인한 금리폭등으로 인해 주 고객인 전문기술 스타트업과 벤처 캐피탈리스트들이  은행 이자율이 올라가자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큰 규모의 예금을 인출했기 때문입니다. SVB의 중요한 유동성 요인이었던 단기 예금들이 갑자기 동시에 큰 규모로 인출되어 갑작스럽게 유동성 위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이렇게 유동성이 줄어들어 SVB에서는 가지고 있는 채권의 손실이 막대하였지만, 어쩔수 없이 210억 달러의 규모의 채권을 매각하여 유동성 확보를 하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18억 달러라는 엄청난 손실을 불러오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유동성이 줄어들자 SVB가 신규자본을 끌어오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22억 5천 달러의 주식을 발행하였지만 주가는 60% 이상 곤두박질쳐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 소식에 고객들의 예금 인출(뱅크런) 사태가 발생하여 지급 불능 상태에 빠졌습니다.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결국 3월 10일 미국 캘리포니아 금융보호혁신국은 불충분한 유동성과 지급불능을 이유로 SVB를 폐쇄하고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 관재인으로 임명하였습니다. 
 
SVB는 미국 16위 은행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파산한 저축은행  워싱턴 뮤추얼 이후 역대 두번째로 큰 규모의 파산으로 알려져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SBV의 파산이 미칠 영향

SVB 파산이 결정된 3월 10일 FTSE 350 Banks Index는 4%이상의 급락을 보였습니다. 많은 은행들과 금융기관도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목요일 시장에서 은행주들이  55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상실했습니다. 당분간 은행주와 기술주는 한동안 불확실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전문가들은 SVB의 파산이 미국 은행산업 및 금융시스템의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일부 취약한 소형은행 및 벤처 캐피탈 산업에는 큰 영향을 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많은 기술과 의료산업 스타트업들의 자금의 원천이었던 SVB가 폐쇄됨에 따라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어 상당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SVB가 미국의 기술 및 의료 분야의 절반에 가까운 기업들과 거래하였다고 하니 연쇄 도산 및 부실 가중 등일부 산업 자체가 흔들릴 수 있는 큰 타격을 입을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이미 10일 다우존스로 전 거래일 대비 8.7% 폭락하였으며, 유럽 증시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의  DAX 지수 또한 전거래일 대비 9.3%나 하락하였습니다. 아시아 증시 또한 폭락을 맞았습니다. 
 
SVB 파산으로 인한 피해가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제한적일 것으로 국내 금융당국은 평가 했는데 국내 은행 모두 SVB와 거래가 없고 자본 건전성도 강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단기적 악재, 장기적 호재

전체적인 시장 하락과 함께 SVB 파산 사태까지 맞물리면서 시장이 더 어려워지고 있지만 미국 금리 인상 여파에 기인한 것으로 지적되었기 때문에 다가오는 미국 금리 인상 여부가 시장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또한 주식시장은 현지시각 화요일 발표되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 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만약 CPI가 예상보다 상회한다면  미연준이 다시 긴축 드라이브를 걸 수 있고  이는주식 시장에 하나의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CPI가 낮게 나온다면 SVB 사태  충격으로 인해 미연준이 금리를 많이 올리지 않을것이고 이는 주식시장에 긍정적 시그널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때문에 svb 파산전에는 빅스텝(0.5%)이 유력했지만, 파산 이후 베이비 스텝(0.25%) 이 더 가능성 높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시장을 끌어내린 악재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호재가 될 가능성이 될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공포로 인해 투자자들이 채권시장으로 몰렸지만 이 불안감을 일시적으로 끝날 가능성이 많다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당분간의 하락세가 예상되는데요.

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SVB파산 이유와 주식에 미칠 영향(악재 vs 호재)

 
하지만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글로벌 금융 위기 때 극도의 공포심리로 인해 모든 자산이 폭락하였습니다. 후행적으로 볼때 이 시기가 주식을 포함하여 모든 자산을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함부로 예단할 수는 없습니다. 판단은 각자의 몫입니다.  현명하게 리스크 관리를 하면서도 하락에 대한 걱정보다는 앞으로 출렁이게 될 변동성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담대함을 가져보겠습니다. 
 
 
부디 주식 시장에 큰 파장이 일지 않기를 기도해봅니다.
 

반응형

댓글